미국 Z세대 뷰티트렌드 리포트

DailyBeautyDrop

미국 Z세대 뷰티트렌드 리포트

e.l.f

2025.04.15

미국 Z세대 뷰티트렌드 리포트

Z세대, 특히 10대가 움직이기 시작하면 시장도 반응합니다.



Piper Sandler의 2025년 소비 리포트에 따르면, 미국 10대의 연간 소비 중 뷰티가 주요 카테고리로 떠오르고 있는데요.

단순한 미용을 넘어 자신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뷰티가 Z세대 소비문화의 중심에 들어선 것입니다.



자기 주도 소비 시대, 10대가 본격적으로 움직인다



이번 조사에는 미국 전역의 고등학생 6,455명이 참여했으며, 응답자의 평균 연령은 16.2세였어요.

그들의 연간 소비는 평균 $2,388 달러에 달했으며, 이 중 뷰티 지출만 $374 달러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전년 대비 10% 가까운 증가율을 보였고, 향수 부문은 무려 22% 성장, 헤어케어 지출도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요.

10대의 뷰티 소비는 단기적인 트렌드가 아니라, 회복된 소비 심리를 반영하는 지표로 주목되고 있습니다.



최애 브랜드는 여전히 e.l.f, 이유는 명확하다



조사에 따르면, 미국 10대 여학생 중 35%가 ‘최애 브랜드’로 e.l.f를 선택했습니다.

비록 점유율은 전년보다 소폭 하락했지만, 여전히 압도적인 1위를 지키고 있는데요, 그 인기의 핵심은 다음 세 가지입니다:


  • 가성비: 대부분의 제품이 $5~$10 사이로, 합리적인 가격에 품질 좋은 제품이라는 인식이 강합니다.
  • 콜라보 감각: 칩폴레, 틴더 등 Gen Z의 관심사를 반영한 이색 브랜드와의 협업으로 지속적인 화제성 확보
  • 10대 채널 적극 활용: 틱톡에서 ‘Halo Glow Liquid Filter’가 ‘샬롯 틸버리 대체템’으로 주목되며 대히트를 기록했어요.



쇼핑 채널도, 플랫폼 영향력도 확실히 다르다


미국 Z세대의 뷰티 쇼핑 채널 순위는 다음과 같아요:


🥇 Sephora (세포라)

🥈 Ulta Beauty (얼타 뷰티)

🥉 Bath & Body Works (배스 앤 바디 웍스) – 2018년 이후 처음으로 Top3에 복귀한 점이 눈에 띕니다.

향기와 감각적 체험을 중시하는 매장 경험 기반의 선택 기준도 다시 부상 중입니다.


플랫폼 영향력 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 Instagram (87%): 감성 중심 커뮤니케이션
  • TikTok (79%): 단기 임팩트 콘텐츠 + 콘텐츠 커머스 확장
  • Snapchat (72%): 폐쇄적 공유로 충성도 높은 커뮤니티 형성



K-뷰티가 알아야 할 10대 소비 인사이트


이번 보고서는 K-뷰티에게도 실질적인 힌트를 줍니다.


  • 콘텐츠 → 소비로 이어지는 사이클이 명확합니다. SNS 트렌드에서 시작해 제품으로 연결되고, 충성도 높은 팬층을 지속 소비자로 전환하는 구조가 작동 중이에요.


  • ‘Try before you buy’는 여전히 중요합니다. 디지털 소비가 강화되었지만, 미국에서는 오프라인에서 테스트하고 구매하는 습관이 강하게 남아 있습니다.


브랜드가 취해야 할 전략 세 가지:

감각 중심의 짧은 영상 콘텐츠 전략 (인스타, 틱톡 중심)

세포라·얼타 등 유통 채널 선점은 더 이상 옵션이 아닌 필수

Z세대가 공감할 브랜드 세계관 구축 – 비건, 윤리소비, 감정적 연결은 더 이상 부가 요소가 아니에요.



마치며


Z세대, 특히 미국 10대는 더 이상 미래의 소비자가 아닙니다.

지금 이 순간, 가장 민감하게 시장을 바꾸고 있는 핵심 주체죠.


높아진 구매력, 민감한 플랫폼 활용, 감각적인 브랜드 소통까지.

이제는 Z세대를 정확히 읽는 브랜드만이, 다음 트렌드를 주도할 수 있습니다.



📷 gcimagazine, Piper Sandler

기사출처 : Piper Sandler, 팜뉴스

관련 회사

추천 아티클